지난번에 엉성하게나마 atmega328p-pu를 이용한 보드를 만들었다.

보드를 만들었다 치고나서 외형이 필요한데

어떻게 시작해야할지 잘 감이 안잡히더라

 

기어, 볼트, 너트, 프레임 같은게 필요할거같은데

영 시중에는 내가원하는 책이 잘 보이지 않았다.

 

이런게 결국 오토마타에 대한 내용이니 이거에 관한 동영상강의 찾다보니

마침 gcamp에서 퓨전 360을 이용한 오토마타는 물론 강의를 많이 올려놓으셧더라

 

그래서 이걸 주제로 준비해보려고 한다.

 

 

기계 매커니즘과 요소

- 기계의 운동 : 직선, 회전, 복합 운동

- 기계 요소

  결합 요소 : 나사, 키, 핀 등 체결하는데 사용하는 부품

  전동 요소 : 회전축, 마찰자, 벨트 풀리, 기어 등 동력을 전달하는 부품

  축 요소 : 축, 베어링 등 축을 연결하거나 지지하는 요소

  관 요소 

  제어 요소

ref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070606&cid=40942&categoryId=32351 

 

레버(지렛대)

- 작은 힘으로 큰 힘을 내어 운동

ref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06582&cid=42380&categoryId=42380 

 

 

 

 

 

기계의 전동 요소(폴리-벨트, 스프로킷-체인, 기어)

- 풀리 : 운동, 힘을 전달하기위해 벨트를 거는 축바퀴

- 두 축에 달린 풀리에 벨트를 걸어 동력 전달

ref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720443&cid=42319&categoryId=42319 

- 스프로킷 : 회전 축에 고정, 체인의 마디에 끼워 회전시키면 동력이 전달

   -> 미끄럼없이 큰 동력이 전달가능하나 소음이 크다.

 ex : 자전거 패달

ref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923359&cid=47326&categoryId=47326 

-기어 : 2개 또는 이상의 축간에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장치로 힘을 확대, 축소, 회전 방향이나 속도 등 조절

ref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923125&cid=47326&categoryId=47326 

 

 

 

 

 

 

기어의 종류

- 스퍼기어(평기어) : 두 축에 평행하게 나란히 있는 기어

- 랙과 피니언 :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기어

ref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264624&cid=40942&categoryId=32335 

ref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617556&cid=50321&categoryId=50321 

- 베벨 기어 : 회전 방향을 직각으로 변환

- 웜 기어 : 두 축이 직각이더라도 동일한 방향이 아닌경우 동력 전달하며 감속용

ref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101373&cid=40942&categoryId=32354 

ref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412755&cid=42327&categoryId=42327 

- 아이들러기어 : 두 개의 메인 기어 사이에 설치해서 위치를 조절하거나 회전방향을 반대로 할때 사용하는 기어

ref :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blueletteru&logNo=221583952679 

지난 글에 정리했듯이

외부 AREF를 받진 않을거라

캐패시터통해서 바로 GND랑 연결하고

 

VCC, AVCC, GND들도 정리하자

 

 

아직 보드 전원회로는 아니지만

MCU단 진동자와 전원은 마무리했다.

 

 

리셋핀의 경우 DTR도 받아야하니

프로 미니의 회로도를 참고해서 만들면

 

 

아래의 DIP 타입 핀을 참고해서

네트 네임이랑 점퍼도 추가하려고하는데

핀맵이 조금 신경쓰인다.

 

아래의 링크를 보면

스크래치에 13번 핀 LED 예제인데, 

13번 핀에다가 직접 연결한다.

ref : https://yoo7577.tistory.com/270

 

하지만 32핀 Atmega328을 쓰는 아두이노 pro mini 회로도를 보면

무엇이 13번 핀인지는 안보인데, 아래의 사진을 같이 보면

JP6의 10번핀 SCK가 실제 PRO의 13번핀인걸 알 수 있고,

이 SCK는 ATMEGA328의 17번핀과 연결된다.

 

 

 

하지만 28핀짜리 ATEMGA328P-PU의 PB5(SCK)는 19번 핀이다.

32핀짜리 ATEMGA328의 PB5가 17번 핀이었으나

32핀 짜리것과 PB5의 핀 번호는 다르더라도 결국에는 PB5인건 같으니 상관없는지는

아직 잘 모르겠다.

 

 

32핀 보드짜리 코드를 28핀짜리 보드 코드에 쓰지 못하지 않을까 싶었는데

아두이노 스캐치를 보니 보드를 선택할수 있는게 생각나서 확인해봤다.

 

우노보드의 핀맵과

아두이노 프로의 핀맵은 다르니

우노보드의 핀맵을 참고해서 하면 문젠 없을거같다.

 

 

 

잠깐 찾아봤는데

자작 보드만들어서 FTDI 케이블로 업로딩 하는 영상을 찾았다.

 

내가 만들려는거랑 비슷하다.

 

ref : https://www.youtube.com/watch?v=xEnIgC3hCnM&ab_channel=EasyOne 

 

 

 

 

아 계속 프로미니처럼 만든다고 햇갈렸는데

그냥 우노보드 비슷하게 만들면 되는걸 잊었다.

 

계속 햇갈리는 중인데

ATmega328P는 USART 직렬 통신으로 프로그래밍이 가능하다고한다.

 

직렬 통신으로 프로그래밍 할때 어떻게 하는가를 보고싶지만 잘 모르겠다.

 

 

USART로 한다는건 알겠지만 어떻게 프로그래밍 업로드 상황인지

그냥 USART 통신하는 상황인지 판단해서

프로그램 업로드를 하는건지 알고싶은데 

 

 

일단 여기에서는 아두이노에 프로그래밍 업로드 하는 방법 두가지를 소개한다.

https://www.instructables.com/Overview-the-Arduino-sketch-uploading-process-and-/

 

 

 

 

 

 

 

 

------

아 모르겠다.

위 내용을 오늘 아침 9시쯤했었는데 노느라 지금까지 안했다.

  

 

 

더 이상 이거가지고 삽질하는건 시간낭비인거같아서

일단 엉성하게라도 마무리하려고 한다.

 

 

USB나 파워 서플라이로 전원 넣는다 하고,

전원 노이즈 필터링은 C4 캐패시터로 하려고 한다.

 

 

일단 엉성하게라도 보드 회로도 완성본

 

 

 

다음으로 직접 PCB 만들기 대신 

빵판이나 땜질로 할거지만

 

그래도 어떻게 할지 정리해야되니

엉성하게라도 PCB 파츠 배치하고 와이어링했다.

 

수업 진도나 다른거 공부하는게 벅차서

PCB 수업을 제대로 안한게 좀 후회되긴 했다 ㅋㅋㅋ ㅠㅜ

설정 해야될게 너무많아서 하기싫은건 어쩔수도 없었고

 

 

잘 모르는 사람이 보면 겉보기엔 괜찮을순 있지만 

 

3D로 보면 PCB 상태가 처참하다 ㅋㅋㅋ

 

 

 

처음이다보니 회로도를 이렇게 만들기도 너무 벅찼다

나중에 부품 찾아서 만들어보고, 아마 고쳐야될듯싶네

 

 

단순 회로는 여기서 마치고,

내일은 3D 프린터로 만능 기판에 맞춰서 쓸수있는 프레임을 만들어봐야겠다.

지난 번까지

arduino uno 전원회로와 동작 원리에 대해서 살펴봤다.

 

원래는 ATmega128로 KUT128 같은 보드를 만들까 싶었지만 핀이 너무 많아서 힘들것 같고

대신 우노보드에 사용한 ATmega328를 이용한 보드를 만들고자 하는데,

그나마 Pro mini 회로도를 보고

거기서 빼도 될부분은 빼서 간단하게 만들어보는게 나을것 같았다.

 

 

 

우노보드의 경우 

USB2Serial용도의 추가적인 마이컴과 회로가 있어서

더 복잡하나

 

 

 

 

 

프로 미니의 경우 이에 대한 부분은 빠져있어서 훨씬 간단하다.

 

 

프로그래밍 업로드의 경우 어떻게 할까 찾아보니

보통 FTDI 케이블이나 USB2TTL 케이블을 쓰는거같은데

 

 

아무거나 상관없을거같고

아래의 링크에 따르면 USB2TTL 케이블은 DTR핀이 없는 경우 업로딩후 직접 리셋해줘야 한다고 한다.

이래서인지 위의 프로 미니 회로도에도 DTR핀이 328의 RESET단자와 연결되어있다.

https://blog.naver.com/ann_arbor/221359169142

 

 

 

 

 

 

MCU는 이미 가지고 있는 아두이노 우노보드의 ATMEGA328P-PU를 쓸 예정이고,

MOUSER의 데이터시트를 봤는데

https://www.mouser.kr/datasheet/2/268/ATmega48A_PA_88A_PA_168A_PA_328_P_DS_DS40002061B-1900559.pdf

 

PU란게 28P3 패키징 처리라고한다.

근데 속도가 20MHz라고 하는데, 원래 우노보드에서 16MHz 크리스탈 쓴걸로 아는데 왜이런지는 모르겠다.

 

 

 

 

이제 회로 설계를 하면서 좀 보려고하는데

지난번에 설치한 Autocad 껀 자꾸 딜레이가 생겨서 쓰기가 너무 힘들고,

프로테우스의 경우 내가 쓰려고하는 ATmega328P-PU 라이브러리를 제대로 찾지는 않았지만 파츠를 찾지 못했다.

 

대신 다른거 쓸게 없을까 싶다보니 

위 아두이노 미니 프로 회로도를 그리는데 쓴 EasyEDA가 괜찮을거같더라

이걸로 쭉 진행하려고하는데 위에 미니 프로 회로도는 크게 상관없지만 3.3V 기준으로 나와있다.

 

 

아 내가 만들려는건 실제 아두이노 프로미니를 본따서 만들거지만

32핀 짜리 ATmega328이 아니라 28핀 ATmega328P-PU를 쓴다.

 

 

 

 

일단 크리스탈 파트를 보면

16MHz 진동자와 1M짜리 저항을 쓰고 있다.

 

잘 보면 수정진동자와 캐패시터가 같이 합쳐져 있는데

스펙 찾아보니 이게 15pF짜리 빌트인 진동자라고 한다.

내가 쓸건 SMD 타입은 아니라

빌트인 캐패시터가 있는지보고 달아줘야할거같다.

 

 

 

JYJE S4T16000HYFAC

일단 회로도상에 이 소자를 썻는데, 

여기는 빌트인 캐패시터가 없고, 부하 캐패시터가 9pF라니까

이렇게 두개 달아줬다.

 

 

이걸 완성시키면 빵판에다가 테스트 해보긴 할거지만

결국에는 만능기판에다가 땜질할거니 일단 FTDI 단자부터

프로 미니 회로도 따라그리면

 

 

프로 미니와 우노보드를 보면

우측우노보드의 AVCC와 VCC가 무극성 캐패시터를 통과하고 있는데

이게 노이즈 필터링 바이패스 캐패시터로 보이고,

 

좌측 프로미니의 경우 3.3V 네트와 GND 네트가 328의 핀과 직접 연결되어있는데

해당 그림의 좌측 하단에 따로 빼서 표시한거같다.

 

 

캐패시터 용량을보면 둘다 0.1uF로 상관은 없는데

AREF가 신경쓰인다. 우노보드에는 디지털 점퍼와 캐패시터와 연결되어있고,

프로미니는 캐패시터를 통해 GND로 연결된다.

 

 

AREF가 햇갈리는데

잠깐 찾아보니 아날로그 기준전압으로

 

 

원래 ADC는 5V ~0V를 1024단계로 나누지만

AREF를 쓰면 더 정밀하게 AREF ~ 0V를 2^10 = 1024 단계로 나눠서 볼수 있다고 한다.

이 부분은 메카솔루션 블로그 참고

https://blog.naver.com/PostView.naver?blogId=roboholic84&logNo=220543931172&categoryNo=30&parentCategoryNo=0 

 

 

 

아래 링크를 보면

AREF 쓰는법을 잘 설명해주는데,

https://kwonkyo.tistory.com/381

 

 

AREF를 외부에서 받아서 쓸수 있으며

우노보드에서 REF핀으로부터 받아 캐패시터와 함께 328보드의 AREF핀으로 연결되어있다.

 

 

하지만, 프로미니의 경우 AREF단자가 없으므로

최대 기준 전압없이 5 ~ 0V로 ADC하는거같다.

마지막 아두이노 전원회로 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lhpjks3ZOG4&list=PLXklyWpn9peYWUlkubQukMsGajGstAi9g&index=7&ab_channel=%EC%9D%B4%EC%9A%A9%EC%84%B1%EA%B5%90%EC%88%98MFTSMultiFusionTechSpace 

 

 

 

 

마지막껀 그냥 그림만 그려놓고 마무리한다.

남은 전원관련회로

1. 전원 ON 회로

2. 버퍼/전압팔로워

3. OPAMP 전원/노이즈필터링 바이패스 캐패시터

 

LED LTST-C170GKT

- SMD 타입 녹색 LED

- TA 주변온도 25도씨 기준 절대 최대 정격

  - 소비 전력 100 mW

  - 피크 순방향 순간 전류 120mA

  - 연속 순방향 전류 30mA

  - 역전압 5V

전기적 특성

- 순방향 전압 2.1V, 전류는 20mA

전원표시회로

-LED에서 2.1V 전압강하   -> 병렬 합성저항에서 2.9V

- 합성 저항 R_t = 500옴

=> LED에 흐르는 전류 I_F = 2.9V/500ohm = 5.8mA

 * 순방향 전류 20mA보다 작아서 불빛이 작더라도 전원 이상 유무 확인할 뿐이므로 문제 X

 

 

버퍼 회로

- 이득이 1인 OPAMP회로, 출력이 반전입력단으로 궤환됨(피드백)

- 비반전 입력단자 V_IN(V_P), 반전 입력단자 V_N, 출력 V_OUT

 -> V_OUT = V_N

* 이상적인 OPAMP : 전압이득, 대역폭, 입력임피던스, 동상신호제거비 무한대 <-> 출력임피던스 0

=> OPAMP 내부에 흘러가는 전류 I_+ = 0이다(입력 임피던스가 무한대이므로)

 * 가상단락 : 전류는 무한대 입력임피던스 = 개방되서 0이지만, 전압은 단락되서 전위차가 없음.

=> V_IN = V_P인데, V_P = V_N = V_OUT

=> V_IN이 V_OUT과 같아진다 => 이득이 1이다.

 

버퍼회로 계산

- V_OUT = A_VOL(V_P - V_N)

  V_OUT(1 + A_VOL) = A_VOL * V_IN)

  V_OUT = A_VOL/(1 + A_VOL) * V_IN = V_IN

 

버퍼회로 용도 : 부하 효과 제거

- Vs의 전압을 부하 R_L에 인가시, 전선이 짧으면 V_S와 V_L이 같다.

<-> 도선이 아주 길면 선단저항이 커져 도선에 의헌 전압 강하가 생김 -> V_S와 V_L이 달라진다.

OPAMP를 이용한 부하효과 개선

- R_S에 V_S가 그대로 인가되고 있음

- V_S = V_P이나, 가상단락으로 V_S = V_N이기도 함. V_N = V_OUT이므로

 => V_S = V_OUT이 된다.

- 부하효과 없이 부하에 V_S가 완전히 전달된다.

 

OPAMP 전원단자

- 8번핀에는 +5V, 4번핀에는 GND가 연결되어 있음.

- +5V의 노이즈 필터링을 위해 무극성 100nF짜리 바이패스 캐패시터 사용

 

 

 

MOSFET   들을때마다 햇갈린다.

- 작은 전압으로 큰 전류를 증폭하거나 스위칭하는 소자

- N채널과 P채널이 존재

  -> N채널의 경우 drain에서 source로 흐름

  -> p채널의 경우 source에서 drain으로 흐름

http://www.ktword.co.kr/word/abbr_view.php?m_temp1=1788

 

 

증가형 pMOSFET의 동작

- Vin에 Low인가시 전류가 흘러 Vout은 High가 됨

- Vin에 High인가시 전류가 안흘려 Vout은 LOW가 된다.

=> LOW인 경우 연결되는 점에서 B접점 스위치와 비슷

 

FDN340P pMOSTFET 데이터 시트

- 2A의 전류가 흐르며, 전위차가 20V 이상시 소손

- V_GS = -4.5V일때 -> 채널폭이 커진다 -> 저항 감소 -> R_DS(ON 시) 저항값이 70m옴

- V_GS = -2.5V 일때-> -4.5V때보단 채널폭이 좁다 -> 저항 증가 ->  R_DS = 110m Ohm 

 

 

FDN340P 절대 최대 정격 

- V_DSS 드레인-소스간 전위차 -20V

- V_GSS 게이트-소스간 전위차 +-8V

 

전기적 특성

- I_DSS : 게이트 전압이 0일때도 흐르는 드레인 전류(누설 전류) 온도에 따라서 -1, -10uA가 흐름.

- V_GS(th) : 게이트 임계전압 

 

* VIN은 DC파워잭이나 VIN핀으로부터 전원을 받음

 

 

* p채널 MOSFET은 게이트 전압이 0V일 때 소스에서 드레인으로 흐름(B접점)

 

비교기 + pMOSFET 전원 선택 스위칭 회로

1. DC파워잭이나 VIN핀으로 VIN Net으로 인가시 비교기는 HIGH 출력

  -> 증가형 pMOSFET은 게이트에 HIGH가 인가되어 채널 형성 X

  ->  소스단 USBVCC 전원이 드레인으로 넘어가지 않음

 

2. DC파워잭이나 VIN핀으로 전원 인가받지 않은 경우 비교기는 LOW 출력

 -> 증가형 pMOSFET은 게이트에 LOW가 인가되어 USBVCC의 5V가 소스에서 드레인으로 흘러간다.

 

 

 

 

LP2985 선형 전압 레귤레이터 데이터 시트

- 지금 사용하고 있는건 3.3V 출력하는 IC, 그 외에도 1.8V, 2.5V 등 출력하는 IC도 있음

 

- ON/OFF(bar) : 5V인가시 레귤레이터 동작, 0인가시 동작 x

- 16V이상 V_IN과 V_ON/OFF인가시 파괴

- I_L = 150mA인경우 V_DROP = 280mV (LDO : LowDropout)

OP-AMP와 비교기

- 증폭기, 비교기, 적분기, 미분기 등의 용도로 사용되며, 이 회로에서는 비교기로 사용

- OPAMP는 입력 전압을 무한대로 증폭시키나 실제로는 포화되어 최대 전압이 존재.

- op amp 비교기의 V_out = (V_in+ - V_ref/V_in-) * A_v    (A_v는 전압이득으로 매우 큼)

* 공급 전압을 넘지 못함 => V_out = V_cc-> 비교기의 출력이 0V(-V_EE)나 5V(+V_CC)가 된다!

 

 

비반전 비교기 회로

- 9V의 VCC가 주어지고, 저항으로 전압 분배 -> 기준 전압이 4.5V

- Vin이 4.5보다 크면 포화, 작으면 0V(GROUND)

- 하지만, 비교기의 출력이 0V가 되어야 LED에 전원이 들어옴.

 

 

전원선택회로의 OPAMP(LM358)

- VIN을 +로 받는 비반전 비교기, -단자에는 3V3

 전원 인가 방법

- 단일 전원 : 3~ Vcc(max)

- 분할(양)전원 : 1.5v ~ Vee(max)

* 0 ~ 30V의 듀얼 채널 파워서플라이를 가지고 있는 경우 -> 분할 전원으로 +15V, -15V로 전원 공급 가능

 

최대 정격 전압

- 단일전원시 Vcc 최대 32V

- 양전원시 Vcc, Vee +-16V

=> 단일 전원시 더 높은 전압을 얻을 수 있다.

전기적 특성

- Large Signal(DC) Open Loop Voltage Gain(Avol) DC 개루프 전압이득 : 100V/mV -> 100 * 1000 = 10만배 

* Small Signal(AC)

=> Vout = Avol ( Vin+ - Vin-) => 두 입력 전압의 아주 작은 차이도 아주 큰 전압 이득으로 인해 포화됨

이번 글 링크는

https://www.youtube.com/watch?v=Jh3BgkF_CP8&list=PLXklyWpn9peYWUlkubQukMsGajGstAi9g&index=4 

 

 

아두이노 우노보드의 5V 레귤레이터

- SPX1117M3 사용

- 출력전압 5V, 최대 출력 전류 800mA

 

LM1117 데이터시트

- 800mA 출력, LDO(Low Dropout : Vin - Vout이 작다 -> 발열로 손해보는게 적다!)

- LDO 레귤레이터로 전압강하가 1.2V정도 된다. -> 6.2V이상을 입력으로 주면 5V를 얻을 수 있다.

- 2개의 외부 저항을 달아 출력 전압을 1.8V, 2.5V, 3.3V, 5V 등으로 설정 가능

- 과도응답과 출력 전압 안정을 위해 최소 10uF 이상의 탄탈 캐패시터가 필요함(전해 캐패시터도 상관없음)

- 버전에 따라 온도 범위가 다름.

 

 

LM1117 출력 전압 조정하기

- 아래와 같이 2개의 외부 저항으로 출력 전압 조정 가능.

패키지 타입 별 형태

 

절대 최대 정격

- 최대 입력 전압은 20V

 

LM1117 전기적 특성

 

- 최대 출력 전류가 800mA인경우 전압강하 1.2V

 

 

 

LM78XX

- XX는 출력 전압, LM78은 +의 출력 전압을 내는 IC

 * LM79XX : LM79는 -의 출력전압

- 5, 6, 8, 9, ..., 24V까지 다양한 전압 출력

-> 5V 출력하는 레귤레이터는 LM7805, 24V의 경우 LM7824

- LM7805의 경우 동작 전압이 7 ~ 20V

- LM7824, LM7827은 최대 입력 전압이 40V, 나머지는 35V

- LM7805는 출력 전압이 5V, 드롭아웃 볼트는 2V

 

LM1117

- 데이터 시트 상에서 과도응답과 출력 전압 안정을 위해 최소 10uF 탄탈 캐패시터(전해도 ok)를 사용해야 한다고 함

 + 추가로 고주파 필터링을 위해 세라믹 캐패시터를 병렬로 연결해 사용

 

LM1117 출력 전압 조정하기

- C_adj는 리플 제거용으로 옵션임

- 나머지 두 캐패시터는 노이즈 제거, 평활화

- R2를 가변 저항을 사용하여 조정

 * I_adj는 60uA로 아주 작아서 Vout에서 생략한듯

이번 글은 아래의 2번 강의

https://www.youtube.com/watch?v=wgVV1fitodE&list=PLXklyWpn9peYWUlkubQukMsGajGstAi9g&index=2

 

 

아두이노 우노보드 전원 공급 방법

- 입력 전압 : 7 - 12V -> 5V REG에서 5V로 출력됨

1. DC 파워 잭 : 7 ~ 12V DC 공급받음

2. USB 포트 : PC와 통신, 5V 전원 공급받음

3. Vin Pin :외부 전원 소스(7 ~ 12V) 사용

* DC 파워잭, VIN 핀 공급 전압은 7-12V을 받더라도 5V REG를 통해 5V로 공급받음

 

 

 

아두이노 전원 관련 핀

- +3V3 : 3.3V REG 출력

- +5V : 5V REG 출력

- VIN : 외부 공급 전압 핀

 

 

아두이노 전원회로 구성

1. DC 5V 정전압 레귤레이터 회로

2. 5V 전원 공급 표시 회로

3. 전원 소스 스위칭 회로(OP-AMP 비교기 + p-ch MOSFET 스위칭)

 - USB 연결한 상태에서 외부 전원을 추가로 연결

  -> +5V 전원을 USB껄 쓸지, 외부 입력 전원을 쓸지 선택

 - DC 파워잭과 USB를 동시에 연결해도 회로 보호

4. DC 3V3 정전압 레귤레이터 회로

5. 버퍼회로(전압 팔로워)

6. OPAMP 전원공급단자 & 바이패스 캐패시터(고주파 필터링)

 - +VCC는 +5V, -VCC에는 GND 연결

 

 

DC 5V 레귤레이터 회로 다시 보기

 

 

 

5V 레귤레이터의 다이오드

- 역방향 전압을 방지하기 위함.

- 0.6 ~ 0.7V 전압 강하 발생

- 역방향 전압 인가시 전류 차단, 특정 전압 이상시 못버팀

 * CGRA4007-F : 역방향 전압 1Kv(Peak), 700v(RMS), I_F = 1A -> 최대 1000V 역방향 전압, 순방향 전류 1A 까지 버팀

 

 

 

CGRA-4007G 데이터 시트

- 역방향 전압 50~ 1000V, 순방향 전류 1A

최대 정격과 전기적 특성

- 역방향 최대 피크 전압 1000V

- 역방향 최대 차단 전압(Max DC blocking voltage) : 1000V

- 최대 RMS 전압 700

- 최대 평균 순방향 전류 1A

- 1A에서 순방향 최대 전압 1.1V

 

레귤레이터 입출력단 평활화 회로

- 크기는 47uF, 내압 25V짜리 전해 캐패시터 2개 사용

-  용도 : 입출력 전원/맥류(DC + AC)를 평활화 해주기 위함. 

 * 캐패시터의 용랑이 클수록 서서히 방전되서 평평해짐

<-> 노이즈 필터링은 못함!

- 콘덴서 선택 : 용량값, 내전압, 동작 온도를 고려해야함.

 -> 동작 전압의 1.5배 여유마진(7 ~ 12V를 입력받으니 18V 이상 내전압)

 

 

노이즈 필터링 회로

- 알루미늄 전해 콘덴서는 코일/인덕턴스가 커 고주파 노이즈에 취약(유도성 리액턴스가 커 노이즈가 안빠짐)

 -> 고주파 노이즈 필터링을 위해 C2 100nF 세라믹 콘덴서 병렬 사용

* 세라믹 콘덴서(바이패스 캐패시터)는 고주파 노이즈를 잘 통과시킴

 -> 고주파 노이즈가 회로에 흐르는 것을 방지.

 

 

연산 증폭기 LM358

- 이 연산증폭기는 +VCC에 5V를, -VCC자리에 GND를 연결함.

- 1MHz 8VSSOP

- 노이즈(고주파) 필터링을위해 100nF 캐패시터(바이패스 캐패시터) 사용.

- PCB 상에서 캐패시터가 연산증폭기 LM358 5V입력과 연결된걸 확인할 수 있슴.

 

 

연산증폭기 어레이 저항

- 12 x 6 크기의 10k 어래이 저항 4개

- OPAMP와 연결된걸 확인할 수 있다.

 

MOSFET

- 증가형과, 공핍형(감소형)이 있으며, n채널, p채널이 있음.

- 여기서는 p채널 증가형 MOSFET 사용

 

 

 

3.3V 출력 레귤레이터(LP2985-33DBVR-A.2)

- 입력은 5V를 받아, 출력은 150mA 3.3V

- V-REG는 Voltage Regulator, LDO Low Drop Output -> V-REG LDO : 조금만 떨어트리는 레귤레이터 

- 뒤에 1uF인 C3 캐패시터 존재

 

Voltage Follwer(버퍼) 회로

 

 

 

 

 

 

 

오늘 본 전원회로 소자는 이렇게 정리된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