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형미분방정식과 비선형 미분방정식

- 선형미분방정식 : 도함수/종속변수가 1차인 미방

   * n계 선형미방 : 가장 많이 미분한 항이 n번 미분한 미방

- 비선형미분방정식 : 도함수/종속변수가 1차가 아닌 미방

 

선형 미방과 비선형 미방 비교

- 아래의 예시에서 첫번째 미방의 경우 다차항이없고, y''가 가장 많이 미분하였므로 2계 선형 미방

- 두번째 미방의 경우 (y')를 제곱하여 2차가 되므로 비선형 미방

 

 

1계 선형 상미방의 대수적 표현과 표준형

- 1계 선형 상미방 : 아래와 같이 다차항이 없는 1계 상미분방정식

 * 우항의 r(x)는 입력을 의미(ex: 힘, 전류, 변위 등)

 * y(x)는 입력에 대한 출력

-  y'의 계수가 f(x)일 때 f(x)를 나누어 아래와 같이 y'의 계수를 1로 만들었을때의 미방을 1계 선형 상미방의 표준형

 

 

동차와 비동차

- 아래와 같이 우항이 0인 선형미분방정식을 동차 선형미방이라 하고, 0이 아닌 경우를 비동차 선형미방이라 한다.

- 동차 선형 미분 방정식 : 모든 항이 y 혹은 y의 도함수를 가지고 있다.

- 비동차 선형 미분 방정식 : 모든 항이 y 혹은 y의 도함수를 가지고 있지는 않다.

 

 

동차 선형 미방과 자명해(trivial solution)

- 다음의 동차 선형 미방의 표준형을 변수 분리하고, 적분 한후, 지수함수를 취하면 아래의 일반해(동차해)를 얻음

- 이 일반해에 c = 0을 대입하면 해당 구간 모든 x에 확실한 자명해 y(x)=0이나옴

 * 자명해는 당연한 해로 필요 x

 

비동차 선형 미방의 해

- 아래의 비동차 선형 미방이 주어질때, 적분 인자 F를 곱하자

- pF = F'의 조건을 주고, 변수 분리법으로 분리한 후, 적분과 지수함수를 취한 결과 F = e^h가 나온다.

- 이를 Fy의 합성함수 미분 식에다가 대입한 결과. (Fy)' = r * F임을 얻는다.

- (Fy)'를 적분 후, 양변에 F(=e^h)를 나눈 결과 응답 y(x)에 대한 식이 나오며, 입력의 응답과 초기조건응답으로나뉜다.

 

 

ex1) 1계 선형 상미분방정식의 초기값이 주어질때 응답 y 구하기

- 아래의 미분방정식과 초기조건, y에 대한 식이 주어지면  입력 r = sin 2x, p = tanx

- h = p = tan x의 적분이며 e^h = sec x가 나온다. 이를 통해 식 y의 r*e^h와 e^-h를 구한다.

- 정리한 식 y에 초기조건을 대입한 결과 c = 3이 나왔으므로, 이 선형 미분 방정식의 특수해는 아래와 같다.

 

ex2) RL 회로의 전류를 구해보자

- RL 회로가 주어지면,  KVL과 옴의법칙을 통해 구한 1계 선형 상미분방정식과 그의 표준형은 다음과 같다

- 비동차 선형미방의 일반 해를 구해보자

- 초기조건 I(0) = 0  <= 인가 시작떄 전류가 0이다. 초기조건을 통해 특수해를 구하자

 * 회로이론의 RL회로 전류 인가시 전류의 과도응답 식과 같다! wow

 

 

베르누이 방정식(비선형 상미방을 선형 상미방으로 바꾸기)

- 베르누이 방정식 : 실제 많은 문제는 비선형 -> 선형 상미분으로 변환하면 쉽게 풀수 있있으며 이 방법 중 하나

- 아래의 식에서 우항 y의 차수가 0 or 1이면 선형이지만 그렇지 않으면 비선형 상미방이 된다.

- 아래의 u에 대한 식을 미분하고 y'를 대입하자. u에 대한 선형 상미방이 나온다!

변수분리법

- 다음과 같은 상미분 방정식(변수 분리 가능 방정식)이 주어질 때, 양변에 x로 적분을 하고 정리를 하면 좌변은 y만 우변은 x만 나오며 이를 계산하여 일반해를 얻는 방법

변수 분리법을 이용한 예제

편미분과 전미분

- 편미분 : 다변수 함수에서 한 변수만을 다루고 나머지 변수들은 상수로 취급한 미분 

 -> 한 변수가 변할때의 변화율

- 전미분 : 다변수 함수에서 모든 변수를 동시에 다루는 미분

 -> 모든 변수가 변할때의 변화율

 

전미분과 완전미분방정식

- 함수 u(x,y)의 편도함수가 연속일때 이 함수의 전미분은 다음가 같고, u(x, y)가 상수인 경우 전미분은 0이된다.

- u(x,y)가 아래와 같이 주어진 경우 전미분을 구하고, 미분방정식의 형태로 만들면 완전미분방정식이 나온다.

- 이 완전 미분방정식 du = 0이므로 적분을 하여 일반해를 구하면 u(x, y) = c의 형태로 음함수해가 된다.

 

완전미분방정식이 되기 위한 조건

- 완전미분방정식은 전미분 du = M(x, y)dx + N(x, y) dy 의 형태가 되야 하며 M과 N의 편도함수가 같을때 성립한다.

 

 

 

완전미분방정시 아닌 경우와 적분 인자

- 아래의 식은 완전 미분방정식이 되지 않음.

- 1/x^2을 곱할 시 

- 적분인자 : 방금 완전미방이 아닌 식에 1/x^2을 곱하여 완전미방으로 만든 것처럼 곱한 함수 F(x,y)가 적분인자.

미분 방정식 differential equation

- 현실의 물리 현상을 미분을 통해 모형화 한 방정식

- 상미분 방정식 ode ordinary de : 변수가 한개인 미방

- 편미분 방정식 pde partial de : 변수가 여러개인 미방

- 모델링 : 공학, 물리학, 화학 등 여러 분야의 실제 현상을 수학적으로 계산할 수 있도록 표현한 모델

 

 

* 목표 : 현실 문제에서상미분 방정식을 유도(모델링)하고, 방정식을 풀고 그래프 시각화하여 해석하자

 

1계 상미분 방정식

- 2차, 3차등 고차 도함수가 아닌 1차/1계 도함수만을 가지고 있는 미분방정식

 

 

공학 문제와 모델링

- 공학 문제를 계산을 통해 풀려면 수학 모델로 만들며 이를 모델링이라 함

- 모델링에 미방을 사용하는 이유 ? -> 다양한 물리 현상들이 도함수(미분)을 포함하고 있음(ex:속도, 가속도)

 

 

상미분방정식과 편미분 방정식

- 상미방 : 하나의 변수 <-> 편미방 : 여러 변수

 

미분 방정식 활용 예시

- 낙하, 스프링에서 변위, RLC 회로 전류, 진자 운동

 

 

 

 

상미분방정식의 양형태, 음형태

- 양형태 explicit form : 모든 항을 좌변으로 옮김

- 음형태 implicit from : 도함수만 좌변으로 옮김

 

 

 

 

- 해 : 어느 함수 h(x)가 열린 구간에서 정의/미분 가능하며, 이 함수 h(x)를 만족하는 y

- 해곡선 : 해들의 곡선

- 열린 구간 : a < x < b에서 양 끝 a와 b를 포함하지 않는 구간

 

 

 

 

상미분 방정식과 해

- y' = cos x인 (음형태) 상미분방정식이 있을때, ode의 해는 y = sin x + C

- 일반해 general solution : 임의의 상수 C를 가지고 있는 해

- 특수해 particular solution :  임의의 상수 C를 특정값으로 할때의 해

 

 

 

특수해와 초기값

- 초기조건 : 특정 입력값에 대한 출력 -> 일반해에 대입해 임의의 변수 c 값을 구할 수 있다.

 => 초기조건을 통해, 해당 초기조건의 특수해를 구한다.(초기값 문제)

 

 

 

초기값 문제 예시

- y' = 3y, y(0) = 5.7일 때 특수해를 구해보자

 * y' = 3y : y를 미분했더니 y가 나온다 y는 지수함수의 형태다.

 * 구한 일반해에 위 초기조건을 대입하여 C를 구하

=> 특수해 y = 5.7 e^3x

 

 

해석적 방법과 수치적 방법

- 해석적 방법 : 직접 계산하여 정확한 해를 구함

- 수치적 방법 : 근사화를 통해 해를 구함

 

1계 ode의 기하학적 의미

- y' = f(x, y)를 기하학적으로 해석해보자

- 점 (x0, y0)을 지나는 위 ode의 해곡선은 y'(x0) = f(x0, y0)을 만족해야한다.

 -> 그래픽 or 수치해석적 방법으로 ode의 근사해를 얻을 수 있다.

 

 

 

상미분 방정식의 방향장 시각화

- y' = y + x라는 상미분 방정식이 주어질 때, (0, 1), (0, 0), (0, -1) 세 점을 지난다면

 -> 3개의 해곡선을 가지며, 세 해곡선과 해당 ode의 방향장은 다음과 같다.

* 뒤에 오일러방법 계산하다가 자꾸 값이 이상하게 나왔는데 일반해부터 잘못 구한거같다

 

오일러 방법 - 간단한 수치해석적 방법

- ode와 초기값이 주어질 때, x1 = x0 + h라면

  => y1 = y0 + h * y' = y0 + h * f(x0, x0)

- 간격 h가 작을수록 오차는 줄어든다.

- h = 0.2로 놓고 구한 근사값과 실제 특이해를 비교하면 오차가 점점 커지는걸볼수있다.

 

+ Recent posts